Surprise Me!

[그래픽 뉴스] 남북 '서해 NLL 논란'

2020-09-28 5 Dailymotion

[그래픽 뉴스] 남북 '서해 NLL 논란'<br /><br />북한 해역에서 피격된 우리 국민의 시신을 찾기 위한 수색작업이 이어지는 가운데, 서해 북방한계선, NLL을 둘러싼 남북 간의 신경전이 재점화할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오늘의 그래픽 뉴스, 남북 '서해 NLL 논란'입니다.<br /><br />북한군의 총격으로 숨진 공무원은 지난 21일 오전, NLL과 직선거리로 13km 떨어진 바로 이 지점에서 실종됐습니다.<br /><br />그리고 다음 날인 22일 밤 실종 지점에서 38km 떨어진 북측 해역에서 총격을 받고 숨진 것으로 추정되는데요.<br /><br />우리 당국은 숨진 공무원의 시신과 소지품 등을 찾기 위한 수색을 이어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 북한이 어제 우리 당국이 수색 과정에서 북측 영해를 무단 침범하고 있다며 이를 중단하라고 경고했습니다.<br /><br />이에 대해 우리 해경은 '서해 북방한계선, NLL'의 남쪽에서만 수색이 이뤄지고 있다고 밝혔는데요.<br /><br />북한이 침범당했다고 주장하는 건 NLL이 아니라, '서해 해상군사분계선'입니다.<br /><br />NLL과 서해 해상군사분계선은 엄연한 차이가 있는데요.<br /><br />먼저 NLL은 1953년 당시 유엔군 사령관이 설정한 기준선으로, 실질적으로 남북 간의 해상경계선 역할을 해왔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은 1992년 남북 기본합의서 합의에서 NLL에 따른 관할 구역을 인정하는 듯한 태도를 보였는데요.<br /><br />하지만 1999년 1차 연평해전 직후, 북한은 '서해 해상군사분계선'을 일방적으로 선포했습니다.<br /><br />보시는 것처럼 이 군사 분계선은 NLL보다 훨씬 더 남쪽에 설정돼 있고, 이를 기준으로 하면 연평도와 백령도 등 서해 5도의 주변 수역이 모두 북측 해역에 포함되게 됩니다.<br /><br />이후 NLL 일대에서는 해상 경계선을 놓고 제2연평해전은 물론 천안함 피격 등 무력 충돌이 수차례 벌어졌습니다.<br /><br />NLL 일대를 '한반도의 화약고'라 부르는 이유인데요.<br /><br />지난 2018년, 남북은 9·19 군사 합의서에 NLL을 명시하고 이 일대를 평화수역으로 만들기로 합의했습니다.<br /><br />다만 해상 경계선 문제는 추후 남북군사공동위원회에서 협의하기로 하며 최종 합의에 이르지 못했는데요.<br /><br />이런 상황에서 북한이 또다시 '서해 해상군사분계선'을 언급하고 나선 겁니다.<br /><br />서해 경계선인 NLL을 다시 분쟁화하며 이번 피격 사태의 관심을 돌리려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는데요.<br /><br />우리 당국은 자칫 북한의 의도에 휘말릴 수 있는 만큼 일일이 대응하지는 않겠다는 방침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그래픽 뉴스였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